JPA 어노테이션
@OrderBy
컬렉션으로 되어있는 컬럼을 정렬할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으로 별도의 컬럼을 추가해서 관리하는 @OrderColumn
과 달리 이 어노테이션은 SQL문에 order by
문을 추가해 조회하기 때문에 별도의 컬럼이 필요가 없다.
@Converter
엔티티의 데이터를 변환해서 DB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
AttributeConverter을 implementes하여 두메서드를 구현하면되는데 이름 그대로 convertToDatabaseColumn()
은 엔티티의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기 위해 바꾸는 메서드이고 convertToEntityAttribute()
는 반대로 DB의 데이터를 엔티티의 데이터에 맞게 변환해주는 메서드이다.
@Converter(autoApply=true)와 같이 옵션으로 글로벌 옵션을 적용할 수도 있다.
리스너
엔티티의 생명주기에 특정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등록하는 어노테이션
@PrePersist
persist 직전(merge)
@PreUpdate
flsuh/commit 직전
@PreRemove
remove 직전(영속성 전이시에도 호출)
@PostLoad
조회된 직후(refresh 직후)
@PostPersist
엔티티를 DB에 저장 직후에 호출되며 생성전략이 idenetity라면 식별자 생성을 위해 persist()를 호출하면서 DB에 엔티티르 저장하기 때문에 이 persist이후 호출
@PostUpdate
flush/commit을 통해 DB에 수정한 직후
@PostRemove
flush/commit을 통해 DB에 삭제한 직후
리스너들이 존재하는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어서 @EntityListeners(리스너클래스이름.class)
어노테이션을 엔티티에 달아주면 해당 엔티티에서 분리된 별도의 리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.
엔티티 그래프
@NamedEntityGraph
JPQL의 페치조인 없이 JPA의 힌트 기능을 사용해서 엔티티 그래프를 사용해 한번에 조회하는 방법이다.
연관관계의 연관관계를 조회하고자 한다면 subgraph를 이용해 조회할 수 도 있다.
직접 JPQL문을 작성하는 것과는 다르게 설정만 해두면 간단하게 조회를 할 수 도 있을 것 같긴한데 뭔가 JPQL이 더 나은 것 같기도하다.
Last updated